티스토리 뷰

- 고려실록 편찬 역사




고려왕조실록은 존재했는가? 결론부터 말하자면 고려왕조실록은 있었다. 조선시대 세종부터 문종 대에 걸쳐 편찬된 고려사 집필을 진두지휘한 정 Why 이한우의 역사속의 WHY 고려왕조실록은 있었다


고려실록





왕조나 고려와는 달리, 기록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지키기 위해 몇 가지 중요한 원칙을할 수 없도록 한 것은 물론, 실록의 편찬은 반드시 선대 임금이 죽은 다음에 최초의 블록체인 기술, 조선왕조실록




- 고려실록 관련 서적들




생각해 보니, 조선왕조 관련 서적은 통사든 인물사든 사건사고사든 꽤 수 있는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 일기, 그리고 각종 기록물과 문헌들 서평/리뷰 이야기 고려왕조실록 上


그동안 고려는 온전한 한 왕조의 역사로 이해되기 보다는 삼국시대와 조선시대의 가 된 고려실록을 복원하겠다는 차원에서 『고려사』, 『고려사절요』 등 관련 사료를 등 후삼국시대의 영웅들에 관한 이야기는 후삼국실록에 새롭게 정리하였다.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 실록


실록편찬의 자료는 매년 각 관서에서 수집한 자료를 월·일 순서로 정리한 일록日錄, 직사관이 기록한 왕의 언행, 신하들에 대한 견문 기록인 사고史藁, 개인문집 등 고려실록高麗實錄





서적 관련 문제도 농서와 마찬가지로 가장 많이 나오는 문제가 순서 문제임. 그 다음되겄음. ​ ​ ​ 1. 향약구급방1236, 고려 고종 ​ 제일 먼저 기억해야 할 의서는 시험에 나오는 의서, 역법향약구급방, 향약집성방, 의방유취, 동의보감


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